돈 냄새 맡은 중국인들, 국내 부동산 ‘싹쓸이’ 우려…결국 칼 빼든 오세훈
작성자 김석훈 작성일 2025-06-03 조회수 3

돈 냄새 맡은 중국인들, 국내 부동산 ‘싹쓸이’ 우려…결국 칼 빼든 오세훈
입력2025.06.03. 오전 9:40  수정2025.06.03. 오전 9:42 기사원문
권준영 기자
권준영 기자
 TALK
  14
22
본문 요약봇
텍스트 음성 변환 서비스 사용하기
글자 크기 변경하기
SNS 보내기
인쇄하기
[연합뉴스]    
[연합뉴스]
최근 중국인을 포함한 외국인의 국내 부동산 매입이 급증하면서 적절한 규제 조치가 논의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외국인 보유 주택 절반 이상이 중국인이라는 지적이 나온 가운데, 오세훈 서울시장은 2일 외국인 부동산 거래 상황을 명확히 파악해 대응하라고 대책 마련을 당부했다.

3일 서울시에 따르면, 오세훈 시장은 전날 간부회의에서 외국인 소유 부동산 증가 현상에 대한 실태를 정확해 파악하고 내국인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국토교통부에 관련 대책 마련을 신속하게 건의하라고 지시했다.

오 시장이 이같은 지시를 한 것은 최근 외국인의 수도권 부동산 매수세가 거세지면서 부동산 시장에서 내국인 &squot;역차별 문제&squot;가 화두로 떠오른 영향이다.

국토부가 발표한 지난해 말 기준 외국인 토지·주택 보유 통계에 따르면, 외국인이 보유한 주택은 전국적으로 10만216가구에 달하며, 그 중 2만341가구(23.7%)가 서울에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외국인 보유 토지 총 2억 6790만5000㎡ 중 수도권에만 5685만2000㎡가 집중돼 있어 외국인의 부동산 보유가 수도권에 편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내국인이 토지, 주택 등 부동산을 구입할 때 금융, 세금 같은 각종 규제와 복잡한 절차를 거치지만, 외국인의 경우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매입하기에 역차별 우려가 있다고 봤다.

아울러 우리나라 국민이 중국 등 해외에서 부동산을 매입할 때 여전히 각종 규제를 받는 점이 외교 기본 원리 중 하나인 &squot;호혜주의&squot;에도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현재 중국 내에서는 한국인의 부동산 거래에 대해 주택 1년 이상 거주 요건, 토지 구매 불가, 거주 목적 제한 등 엄격한 규제를 적용하고 있다.

서울시는 우선 중국인을 포함한 외국인들의 과도한 서울지역 주택 매입을 통한 부동산 시장 혼란을 철저하게 조사·분석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대책을 마련해 국토부에 건의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한국에서는 외국인이 부동산을 매입할 때 실질적인 제약이 없어 역으로 내국인 차별, 형평성 등이 논란이 되고 있다"면서 "캐나다는 중국인을 중심으로 한 외국인 자금이 주요 도시의 시장에 유입돼 집값 상승을 부추겼다는 지적이 이어지자, 재무부가 나서 외국인 주택 소유금지 조치 소멸 시한을 올해 1월 1일에서 2027년 1월 1일로 2년 연장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기회에 외국인 부동산 구입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형평성 등에 대해 철저하게 살펴보고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4월 외국인이 신청한 집합건물 소유권 이전(매매) 등기는 4169건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2.5%(108건) 적은 수치지만 올해 1월 833건이던 외국인 매매는 △2월 1011건 △3월 1087건 △4월 1238건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 매수 부동산 중 2791건(66.9%)은 중국인이 매입했다. 뒤이어 △미국(519건) △베트남(136건) △캐나다(118건) △러시아(96건) 순이었다.

중국인의 부동산 매수가 가장 많았던 지역은 인천 부평(195건)이었다. 뒤이어 △경기 안산 단원구(158건) △부천 원미구(151건) △시흥(137건) △부천 소사구(121건) 등 순이었다. 이들 지역은 조선족 등 중국인이 다수 거주하는 곳이다.

같은 기간 서울에서는 중국인의 부동산 매수가 243건 있었다. 이는 외국인 매수의 45.4%를 차지한다.

서울에서는 구로구(47건), 금천구(44건)에 중국인 매수가 몰렸다.

권준영 기자(kjykjy@dt.co.kr)​ 온누리상품권 15% 할인 특별판매 사용처 구매 방법 환헷지 언헷지 차이 (환헤지 비환헤지) 대출이 안될때 가능한 방법 (feat. 꺼진불도 다시 보자) VIG ETF 분석 운용전략 배당금 배당률 수수료 주가 전망 1억 투자 예상 넥슨 현대카드 언리미티드 할인 혜택 활용법 피킹률 분석 (UNLIMITED) 유가보조금 화물차 택시 카드 신청 방법 국내 주식 배당금 세금, 종합소득세, 금융소득종합과세, 건강보험료 ACE 인도컨슈머파워액티브 ETF 배당 분배금 수수료 세금 주가 전망 분석 KLIP ETF 분석 운용전략 배당금 배당률 수수료 주가 전망 1억 투자 예상 카카오뱅크 신한카드 혜택 피킹률 분석 및 활용법 YINN ETF 분석 운용전략 배당금 배당률 수수료 주가 전망 1억 투자 예상 가스비 인상 폭탄 방어하는 절약방법 TOP3 자동차보험 운전경력 개선, 장기렌터카 운전경력 인정 하나 알뜰교통카드 할인 혜택 활용법 피킹률 분석 (my pass, 마패) ching 편성표 채널번호 온에어 정보 정리 (채널칭, 칭채널) ARIRANG 고배당주 ETF 분석 운용전략 분배금 수수료 시세 전망 KODEX 200액티브 ETF 배당 분배금 수수료 세금 주가 전망 분석 경기도 기회경기 관람권 지원 대상 혜택 예매 방법 참여 구단 KOSEF 국고채10년 ETF 운용전략 분배금 세금 시세 전망 분석 코스트코 주가 전망 분석 배당 실적 주식 정보 COST 스포티비 편성표 채널번호 온에어 보는곳 총정리 종합소득세 특별세액공제 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세액공제 정리 스마일클럽 혜택 분석 장점 단점 가입 이득 ? (지마켓, 옥션) 월1천만원 만들기, 목표와 실행방법 V1.3 코스 주가 전망 분석 배당 실적 주식 정보 KOSS 알뜰폰 서브폰 요금제 추천 BEST 모음 (세컨폰, 인증용 등) GS Prime 신한카드 할인 혜택 및 활용법, 피킹률 분석 케이뱅크 ATM 출금 입금 방법 수수료 한도 QRMI ETF 분석 운용전략 배당금 배당률 수수료 주가 전망 타워형 아파트 평면도 장점 단점 (Feat.판상형) 신한카드 The PET 카드 할인 혜택 활용법 피킹률 분석 (더 펫) 코스트코 연회비 결제카드 바우처 환불 방법 정리 노령연금 국민연금 임의가입 제도 소개 활용 사례 수급자격 소정근로시간 법정근로시간 뜻 설명 차이 비교 폐가전 무상방문수거 이용 방법 운영 시간 예약 방법 수거품목 알리익스프레스 신한카드 할인 혜택 활용법 피킹률 분석 포항 영일만 가스 석유 관련주 TOP 13 전북은행 씨드모아 파킹통장 최고 금리 3.65% 가입대상 한도 우대금리 분석 미국주식 ADR 뜻 일반 주식과 다른점 주의사항 전북은행 JB슈퍼씨드 적금 소개 금리 혜택 예상 이자 (최고 13.6%) MBC EVERY1 편성표 채널번호 온에어 실시간 총정리 예대금리차 뜻 설명 보는 곳 공시 사이트 (예대금리 예대마진 뜻 설명) 엔 캐리 트레이드 뜻 설명 이유 청산 영향 메디운드 주가 전망 분석 배당 실적 주식 정보 MDWD 4세대 실손보험 비급여 이용량 할인 할증 정보 TIGER KOFR금리액티브(합성) 운용 분배금 세금 시세 전망 분석 로또 실수령액 및 세금 1등 2등 3등 정리 민방공 경보시 국민행동요령 비상시 화학무기 생물학무기 핵무기 대피방법 SOL 금융지주플러스고배당 ETF 배당 분배금 배당률 수수료 세금 주가 전망 분석 예금 적금 만기 주말 수령 방법 정리 및 제일 유리한 방법 토스뱅크 굴비적금 최고 금리 5% 분석 및 이벤트 지원금 1만원 받기 로또 당첨번호 통계 (제일 많이 나온 숫자, 미출현 번호 등) 경기도 예술인 기회소득 지원 대상 자격 금액 혜택 신청 방법 기간 소상공인 자영업자 상생지원금 대상 신청기간 신청방법 지원내용 정리 튼튼머니 설명 소개 적립 기준 스포츠 주간 행사 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무순위 줍줍 분양가 입지 시세차익 안전마진 청약 자격 조건 일정 경기도 아이플러스카드 소개 발급 자격 조건 혜택 신청 방법 눈 실핏줄 터짐 원인 및 좋은음식 KBSTAR ESG사회책임투자 ETF 운용 분배금 세금 시세 전망 분석 신협 예금자보호 대상 여부 정리 신한 쿠팡 체크카드 혜택 및 활용 분석 이더리움 2.0 Merge 소식 버티브 홀딩스 주가 전망 분석 실적 배당률 배당금 주식 정보 VRT